-저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저자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독일 최대의 문호. 1749년 프랑크푸르트에서 황실 고문관인 아버지와 시장의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여덟 살 때 조부모에게 신년시를 써보낼 정도로 문학적 천재성이 엿보였다. 열여덟 살 때 첫 희곡 '여인의 변덕'을 썼고, 1772년(23세) 약혼자가 있는 샤를로테와의 이루지 못한 사랑을 소재로 삼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발표하였으며, 이 작품으로 일약 유명해졌다. 1773년(24세) '파우스트'의 집필을 시작하였으며, 1775년(26세)에 희곡 '스텔라'를, 1778(29세)에 '에그몬트'를 집필하였고, 1779년(30세)에 '이피게니에'를 완성하였다. 1782년(39세)에 실러를 처음으로 만났으며, 후에 정식 부인이 된 평민 출신의 크리스티아네 불피우스를 만났다. 1808년(59세)에 '파우스트' 1부가 출간되었고, 나폴레옹과 두 차례 회견하였다. 1821년(72세)에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를 출간했으며, 1829년(80세) '이탈리아 기행'전편을 완결하였다. 1831년(82세)에 '파우스트'2부를 완성하였으며, 이듬해인 1832년 여든셋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실러와 함께 독일문학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괴테의 작품은 모두 자기 경험의 고백과 참회이며, 고전주의, 낭만주의에 의하여 거대한 업적을 남겼다.
-출처- 교보문고 작가소개
-옮김-
박찬기
-줄거리-
약혼자가 있는 로테라는 한 여인을 사랑한 베르테르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의 과정
-느낀점-
괴테가 자신의 친구가 연인과의 이별로 자살 한 사건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14주 만에 집필한 걸작이다.
한 사람의 사랑에 관한 고뇌를 강렬하고 직설적으로 표현했으며 한때 자살을 동조 하는 소설이라는 오명을 쓴 책 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만큼 사랑에 고민하는 젊은 사람들의 마음을 울린 고전문학 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에든 글귀-
자네가 주장하는 이론은 이것이지. 즉,
로테에 대해서 희망을 걸 수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없는가, 이 두가지 중의 하나 이다.
좋다! 희망이 있다면, 어디까지나 희망을 버리지 말고 그 소원을 이루도록 노력하라.
그러나 만일 희망이 없다면 용기를 내서 그 모든 정력을 소모시키는 비참한 감정으로부터 벚어나도록 최선을 다하라,
이 말이지 - 친구, 그럴듯한 말이다 - 그러나 말하기는 쉬워도, 실천하기란 어려운 법이다.
p - //
우리가 아무리 힘이 약하고 고생이 되더라도, 있는 힘을 다해서 줄곧 앞으로 나아간다면, 비록 꾸물거리며 갈 짓자 걸음으로 걸어간다고 하더라도 돛대를 달고 노를 저어가는 다른 사람보다도 어느 결에 앞서가게 된다는 것을 종종 알게된다. 그리하여 다른 사람과 나란히 서거나 다른 사람을 앞질러 갈 때 비로서 참다운 스스로의 감정이 생기는 법이다.
p - //
-출처- 민음사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안녕 - BOOK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고아였을 때 / 가즈오 이시구로 / 민음사 (1) | 2022.12.13 |
---|---|
아버지의 해방일지 / 정지아 / 창 (0) | 2022.12.11 |
내일 / 기욤 뮈소 / 밝은세상 (0) | 2022.03.16 |
키친 / 요시모토 바나나 / 민음사 (0) | 2021.08.29 |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 이도우 / 시공사 (0) | 202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