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헤르만 해세
독일 남부 뷔르템베르크의 칼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요하네스는 목사였고, 어머니 역시 독실한 신학자 가문 출신이라 기독교적 분위기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890년 라틴어 학교에 입학했고, 이듬해 마울브론 신학교에 들어갔다. 하지만 신학교의 속박된 생활을 못 견디고 뛰쳐나와 한때 자살을 시도했다. 시인이 되기를 꿈꾼 뒤 시계 공장에서 시계 톱니바퀴를 닦으며 문학수업을 시작했다. 1895년 낭만주의 문학에 심취해 첫 시집 《낭만적인 노래》를 출간했다. 1904년 첫 장편소설 《페터 카멘친트》를 출간하여 문학적 지위를 얻었다. 그해에 피아니스트 마리아 베르누이와 결혼했으며, 스위스로 이주해 시작에 몰두했다. 그 후 인도 여행으로 동양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으며, 아내의 정신병, 헤세 자신의 신병 등 가정적 위기를 겪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스의 광적인 폭정에 저항하는 등 파란 많은 세월을 겪었다. 주요 작품으로 《수레바퀴 밑에서》, 《게르트루트》, 《크눌프》, 《데미안》, 《싯다르타》, 《나르치스와 골트문트》, 《유리알 유희》(1946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등이 있다.
-출처- 밀리의 서재 저자 소개
-줄거리-
유복한 가정의 막네인 싱클레어의 성장 소설이다. 열 살 무렵 데미안이라는 소년을 만나 기존의 세계를 깨트리는 이야기를 들음으로 싱클레어는 삶에 큰 영향을 받는다.
-느낀점-
데미안의 유명한 대목인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 처럼 싱클레어는 소년 시절 자신을 억압하던 크로머라는 세계로 부터 벗어날 수 있게 도와준 데미안을 만나고 성장함에 있어 데미안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결국 알에서 깨어남에 있어 스스로 알을 깨야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종국에 스스로의 모습이 데미안과 닮았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 스스로 세상을 깨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마음에든 글귀-
그러던 어느 날 나는 독특한 피난처를 하나 발견했다. 소위 말하는 그야말로 '우연'에 의해서. 하지만 세상에 우연이란 없다. 하지만 세상에 우연이란 없다. 뭔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람이 그 절대적인 대상을 찾아낸다면, 그건 우연히 그에게 주어진 게 아니라, 그 자신이, 그의 필사적인 염원이 그를 이끌었던 탓이다.
E
우리가 누군가를 미워한다는 건 그 사람의 이미지가 가진 어떤 요소, 우리 안에도 마찬가지로 들어 있는 그 요소를 미워하는 거야.
E
어디서나 동맹을 만들고 무리 짓기가 만연하다고, 하지만 그 어디에도 자유나 사랑은 없다고. 대학생 연맹이나 노래 동호회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모두는 결국 강압으로 뭉쳐진 연대이며, 불안과 두려움, 당혹감에서 비롯된 공동체라고
E
그냥 이 새로운 징후들의 수수께끼를 좀 풀어보고 있었어요. 그런데 그럴 필요가 별로 없네요. 일어날 일은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나게 될 테고, 그때 우리는 알아야 할 것들을 경험하게 되겠죠.
E
사람은 자신의 꿈을 찾아야만 해요. 그러면 그 길이 쉬워진답니다. 하지만 영원히 이어지는 꿈은 없어요. 항상 새로운 꿈이 나타나 낡은 꿈을 교체하죠. 그러니 어떤 꿈에도 집착해서는 안 되요
E
대학생들이야 술집을 가거나 말거나, 얼굴에 문신을 하거나 말거나 세상이 썩어 멸망하거나 말거나, 그게 나와 무슨 상관인가! 나는 오직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오는 내 운명을 기다릴 뿐이다.
E
이제는 아무도 너에게 길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앞으로는 네가 스스로 운명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E
'안녕 - BOOK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톨스토이 / 문예출판사 (0) | 2023.06.26 |
---|---|
하얼빈 / 김훈 / 문학동네 (0) | 2023.01.02 |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룰루 밀러 / 곰출 (0) | 2022.12.20 |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 윌리엄 포크너 / 민음사 (0) | 2022.12.13 |
우리가 고아였을 때 / 가즈오 이시구로 / 민음사 (1)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