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김병규
서울대학교 심리학 학사, 경영학 석사 /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경영대학 마케팅 박사
(전) USC마셜경영대학 교수 / (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경영학자이며, 마케팅, 심리학, 뇌과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마케팅 분야의 최고권위지인 Journal of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심리학 분야의 최고귄위지인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등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뇌과학 분야 저널인 Journal of Neuroscience에도 논문을 게재하였다.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미국 마케팅협회에서 부여하는 최우수 논문상인 Paul E. Green Award를 수상하였으며, 역시 한국인 최초로 미국 마케팅협회에서 지난 5년간 마케팅 이론, 방법론, 실무에 가장 중요하고 오랜 공헌을 한 논문에 수요하는 상인 William F. O’Dell Award를 수상하였다. 이 밖에 Journal of Consumer Research에서 박사논문에 기초한 논문 가운데 최우수 논문에 수여하는 상인 Robert Ferber Award의 한국인 최초 수상자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감각을 디자인하라》, 《노 브랜드 시대의 브랜드 전략》이 있다. 최근에는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사회적 기업을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출처- 밀리의 서재 저자 소개
-줄거리-
소비자들을 자신들만의 생태계 속에 빠트리는 소의 중독 상태에 빠트리는 빅 테크 기업들의 방법과 중독 속에서 우리가 생존하기 의한 기준을 이야기한다.
-느낀점-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빅 테크 기업들은 몸의 연장이라고 느껴지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는 실험을 행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 실험을 통해 우리들은 무의식중에 파블로프의 개가 되어버린다. 또한 현대 사회의 대다수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결정 장애의 원인 또한 이러한 환경 속에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는 이러한 중독 경제 사회에서 스스로가 결정할 수 있는 결정력과 자제력을 배양하여야 한다.
-마음에든 글귀-
마케팅의 기본은 자신이 가진 서비스를 어떻게든 판매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만들어서 제공하는 데 있다
E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고객과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온라인 시대에도 최고의 사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E
심리학자나 교육학자 중에서는 자기 조절력이 성공의 열쇠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E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미래에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자신의 미래를 위해서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데 관심을 기울입니다. 반면 자신의 미래에 남아 있는 시간과 기회가 얼마 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새로운 경험을 하기보다는 가까운 사람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 정서적 만족감을 얻는데 더 많은 관심을 갖습니다. 미래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현재의 삶에 행복감을 추구하는 것이죠.
E
-출처- 다산북스 [호모 아딕투스]